쥘리앵 베네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쥘리앵 베네토는 프랑스의 은퇴한 테니스 선수이다. 1999년 US 오픈 주니어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으며, 2000년에 프로로 전향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복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14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다. 단식에서는 투어 우승은 없었지만, 복식에서 12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2018년 10월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캉브레스 출신 - 제롬 랄랑드
제롬 랄랑드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서, 달의 시차 측정과 핼리 혜성 계산에 기여했으며, 랄랑드 상을 제정하여 천문학 발전에 공헌했다. - 부르캉브레스 출신 - 에드가 키네
에드가 키네는 공화주의적 신념을 가진 프랑스의 역사가, 지식인, 정치가로서 사회, 종교, 정치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담은 저작들을 남겼고, 1848년 프랑스 혁명에 참여했으며, 예수회와 울트라몬타니즘 비판으로 논쟁을 일으키고, 루이 나폴레옹의 쿠데타 이후 망명 생활을 했다. - 프랑스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아르노 디 파스쿠알
아르노 디 파스쿠알은 프랑스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로, 1997년 US 오픈 주니어 남자 단식 우승,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단식 동메달(로저 페더러 꺾음)을 획득했으며, ATP 투어 단식 1승 1패, 그랜드 슬램 프랑스 오픈 4회전, ATP 마스터스 1000 시리즈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 8강이 최고 성적이다. - 프랑스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리샤르 가스케
프랑스 프로 테니스 선수인 리샤르 가스케는 뛰어난 원핸드 백핸드를 주무기로 하며 "테니스의 모차르트"라는 찬사를 받았고, 윔블던과 US 오픈 4강 진출, 런던 올림픽 복식 동메달, ATP 투어 단식 16회 우승, 데이비스 컵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했다. - 프랑스의 남자 테니스 선수 - 아르노 디 파스쿠알
아르노 디 파스쿠알은 프랑스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로, 1997년 US 오픈 주니어 남자 단식 우승,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단식 동메달(로저 페더러 꺾음)을 획득했으며, ATP 투어 단식 1승 1패, 그랜드 슬램 프랑스 오픈 4회전, ATP 마스터스 1000 시리즈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 8강이 최고 성적이다. - 프랑스의 남자 테니스 선수 - 리샤르 가스케
프랑스 프로 테니스 선수인 리샤르 가스케는 뛰어난 원핸드 백핸드를 주무기로 하며 "테니스의 모차르트"라는 찬사를 받았고, 윔블던과 US 오픈 4강 진출, 런던 올림픽 복식 동메달, ATP 투어 단식 16회 우승, 데이비스 컵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했다.
쥘리앵 베네토 | |
---|---|
기본 정보 | |
![]() | |
거주지 | 제네바, 스위스 |
출생일 | 1981년 12월 20일 (42세) |
출생지 | 부르캉브레스, 프랑스 |
신장 | 1.85m |
프로 데뷔 | 2000년 |
은퇴 | 2018년 |
플레이 스타일 | 오른손 (양손 백핸드) |
상금 | US$9,556,742 |
싱글 | |
통산 전적 | 273승 297패 |
우승 횟수 | 0회 |
최고 랭킹 | 25위 (2014년 11월 17일) |
현재 랭킹 | 없음 |
호주 오픈 최고 성적 | 3회전 (2006, 2012, 2013, 2018) |
프랑스 오픈 최고 성적 | 8강 (2006)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4회전 (2010) |
US 오픈 최고 성적 | 3회전 (2009, 2011, 2012, 2013) |
올림픽 최고 성적 | 2회전 (2012) |
복식 | |
통산 전적 | 265승 195패 |
우승 횟수 | 12회 |
최고 랭킹 | 5위 (2014년 11월 3일) |
현재 랭킹 | 없음 |
호주 오픈 최고 성적 | 8강 (2007) |
프랑스 오픈 최고 성적 | 우승 (2014)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준우승 (2016) |
US 오픈 최고 성적 | 준결승 (2004, 2007) |
ATP 월드 투어 파이널 최고 성적 | 준결승 (2014) |
단체전 | |
데이비스 컵 | 우승 (2017) |
올림픽 메달 | |
올림픽 게임 | 2012 런던 테니스 남자 복식 동메달 |
기타 정보 | |
코치 | 없음 |
2. 테니스 경력
쥘리앵 베네토는 4세에 테니스를 시작하여, 니콜라 마위와 함께 1999년 US 오픈 주니어 남자 복식,[1] 오렌지 볼 남자 16세부 복식에서 우승했다. 1999년 주니어 단식 17위, 복식 1위를 기록했다.
2003년 모젤 오픈에서 니콜라 마위와 복식 첫 우승을 달성했다. 2006년 프랑스 오픈 8강에 진출했으나, 이반 류비치치에게 패했다.[7] 2008년 카사블랑카와 리옹 ATP 투어 대회 결승에 진출했지만, 각각 질 시몽과 로빈 소더링에게 패했다.[7] 2009년 키츠뷔엘 결승에 진출했으나 기예르모 가르시아 로페스에게 패했다.[7] 같은 해 2009년 웨스턴 & 서던 파이낸셜 그룹 마스터스 8강에서 앤디 머레이와 53번의 랠리를 펼쳤고,[7] 2009 파리 마스터스 2라운드에서 로저 페더러를 꺾었다.[10]
201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3라운드에서 로저 페더러에게 5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9] 2012년 런던 올림픽 테니스에서 리샤르 가스케와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로테르담 ABN AMRO 오픈 결승에 진출했지만,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에게 패했다. 2014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 에두아르 로제-바슬랭과 그라노예르스/M. 로페스 조를 꺾고 우승했다.[11] 이는 1984년 야니크 노아/앙리 르콩트 이후 30년 만의 프랑스 선수 조의 프랑스 오픈 우승이었다.
2014년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8강, 신시내티 마스터스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각각 노바크 조코비치와 다비드 페레르에게 패했다. 2014년 말레이시아 오픈 결승에서 니시코리 케이에게 패했다.
2017년 파리 마스터스 준결승에 진출하여 잭 소크에게 패했다.[12] 2018년 호주 오픈 3라운드, 2018년 프랑스 오픈 2라운드에서 각각 파비오 포그니니와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에게 패했다.[12] 2018년 10월, 프랑스 챌린저 대회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12] 복식 12승을 거두었지만, 단식 우승은 없으며, 준우승 10회는 투어 최다 기록이다.[12]
2. 1. 주니어 시절
쥘리앵 베네토는 4세에 테니스를 시작했다. 니콜라 마위와 함께 1999년 US 오픈 주니어 남자 복식에서 우승했으며,[1] 1999년 오렌지 볼 남자 16세부 복식에서도 우승했다.베네토는 주니어 시절 1999년에 단식 17위, 복식 1위의 최고 랭킹을 기록했다.
2. 2. 프로 경력
2012년 프랑스 오픈 3라운드에서 얀코 팁사레비치에게 패했다.[8]201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3라운드에서 로저 페더러를 상대로 두 세트를 먼저 이겼지만 결국 다섯 세트에서 패했다.[9] 2012년 런던 올림픽 테니스에서 리샤르 가스케와 함께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7년 파리 마스터스 준결승에 진출하여 잭 소크에게 패했다.[12] 2018년 호주 오픈 3라운드에 진출하여 파비오 포그니니에게 패했고,[12] 2018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레오나르도 마예르를 꺾고 2라운드에서 5번 시드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에게 패했다.[12]
2. 2. 1. 2000-2005년: 프로 데뷔 및 초기 경력
쥘리앵 베네토는 2006년 프랑스 오픈에서 얀코 팁사레비치, 마르코스 바그다티스, 라덱 슈테파넥, 알베르토 마르틴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8강에서 4번 시드 이반 류비치치에게 패했다.[7]2008년에는 카사블랑카와 리옹에서 두 번의 ATP 결승에 진출했지만, 각각 질 시몽과 로빈 소더링에게 패하며 준우승했다. 2009년 5월에는 키츠뷔엘에서 열린 인터웨텐 오스트리아 오픈에 럭키 루저로 출전, 개인 통산 세 번째 결승에 진출했으나 기예르모 가르시아 로페스에게 패했다. 같은 해 2009년 웨스턴 & 서던 파이낸셜 그룹 마스터스 8강에서는 앤디 머레이와 53번의 랠리를 펼치는 경기를 했다.[7] 2009년 11월에는 2009 파리 마스터스 2라운드에서 당시 세계 랭킹 1위 로저 페더러를 꺾었다.
2003년 9월에는 니콜라 마위와 함께 모젤 오픈에서 복식 첫 우승을 달성했다.
2. 2. 2. 2006년 프랑스 오픈 8강 진출
2006년 프랑스 오픈에서 베네토는 얀코 팁사레비치, 호주 오픈 준우승자 마르코스 바그다티스, 라덱 슈테파넥, 알베르토 마르틴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그곳에서 그는 4번 시드인 크로아티아의 이반 류비치치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했다.[7]2. 2. 3. 2008-2011년: 꾸준한 활약과 아쉬운 준우승
2008년, 베네토는 카사블랑카와 리옹에서 열린 ATP 투어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했지만, 각각 질 시몽과 로빈 소더링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7] 베네토는 3년 만에 두 번째로 시즌을 50위권 내로 마감했다.2009년 5월, 키츠뷔엘에서 열린 인터웨텐 오스트리아 오픈에 럭키 루저로 출전하여 개인 통산 세 번째 결승에 진출했지만, 기예르모 가르시아 로페스에게 패했다.[7] 같은 해 2009년 웨스턴 & 서던 파이낸셜 그룹 마스터스 8강에서는 앤디 머레이와 경기 중 두 번째 세트에서 53번의 랠리를 펼치는 접전을 벌였으나, 결국 랠리에서 패했다.[7]
2009년 11월 11일, 2009 파리 마스터스 2라운드에서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로저 페더러를 상대로 승리했다.[10] 2010년에는 처음으로 데이비스 컵에 프랑스 대표로 출전했다.
2. 2. 4. 2012년: 올림픽 동메달과 페더러 상대 5세트 접전
201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3라운드에서 베네토는 로저 페더러를 상대로 두 세트를 먼저 이겼지만 결국 다섯 세트에서 패했다.[9] 2012년 런던 올림픽 테니스에서 리샤르 가스케와 함께 남자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2. 2. 5. 2013-2014년: 프랑스 오픈 복식 우승과 세계 랭킹 25위
2013년 로테르담에서 열린 ABN AMRO 오픈 8강에서 베네토는 톱 시드이자 디펜딩 챔피언 로저 페더러를 꺾었다. 준결승에서 동료 선수인 질 시몽을 꺾었지만, 결승에서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에게 패하며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클레이 코트 시즌 로마 마스터스에서는 니콜라스 알마그로를 꺾었지만, 2라운드에서 브누아 페르에게 패했다. 롤랑가로스에서는 30번 시드를 받고 3라운드까지 진출했으나 로저 페더러에게 패했다.
이스트본 잔디 토너먼트에서는 1라운드에서 케빈 앤더슨을 꺾었지만, 2라운드에서 버나드 토믹에게 패했다. 윔블던에서는 2라운드에서 페르난도 베르다스코에게 패했다. 신시내티 마스터스 3라운드에서는 앤디 머레이에게 패했으며, US 오픈에서는 2라운드에서 제레미 샤르디를 꺾었지만 3라운드에서 토마시 베르디흐에게 패했다.
2013년 말레이시아 오픈 결승에 진출하여 스탄 바브린카를 꺾었으나, 비시드인 주앙 소사에게 세트 스코어 1-2로 패했다. 첫 세트를 이기고 두 번째 세트 5-4 상황에서 우승까지 단 한 게임만을 남겨두고 있었으나 역전패했다. 발렌시아에서는 1라운드에서 펠리시아노 로페스를 꺾었지만, 2라운드에서 다비드 페레르에게 패했다. 상하이와 파리 마스터스에서는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014 시즌, 베네토는 조-윌프리드 송가와 펠리시아노 로페스를 꺾고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8강에 진출했지만, 노바크 조코비치에게 패했다. 마이애미 마스터스에서는 에르네스트스 굴비스를 꺾었지만 토미 로브레도에게 패했다. 클레이 코트 시즌에는 보르도 챌린저에서 우승했지만, 롤랑가로스 1라운드에서 파쿤도 바그니스에게 패했다. 이스트본에서는 옌-순 루와 질 시몽을 꺾고 8강에 진출했으나, 샘 퀘리에게 패했다. 윔블던에서는 1라운드에서 질 뮐러에게 패했다.
2014 US 오픈 시리즈는 워싱턴에서 2라운드 패배로 시작했다. 캐나다 마스터스에서는 레이튼 휴이트와 에르네스트스 굴비스를 꺾고 3라운드에 진출했지만, 밀로스 라오니치에게 패했다. 신시내티 마스터스에서는 스탄 바브린카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다비드 페레르에게 패했다. US 오픈에서는 1라운드에서 브누아 페르에게 패했다.
2014년 말레이시아 오픈에서는 8강에서 파블로 쿠에바스, 준결승에서 에르네스트스 굴비스를 꺾고 3년 연속 결승에 진출했지만, 니시코리 케이에게 패했다.
2014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는 에두아르 로제-바슬랭과 조를 이뤄 결승에 진출, 그라노예르스/M. 로페스 조를 2-0 (6-3, 7-6[11])으로 꺾고 생애 첫 메이저 대회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1984년 야니크 노아와 앙리 르콩트 이후 30년 만의 프랑스 선수 조의 프랑스 오픈 우승이었다.[11]
2. 2. 6. 2015-2018년: 선수 생활 황혼기와 은퇴
베네토는 2017년 파리 마스터스에서 준결승에 진출하여 잭 소크에게 패했다.[12] 2018년 호주 오픈에서 그는 3라운드에 진출하여 파비오 포그니니에게 패했고,[12] 2018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레오나르도 마예르를 꺾고 2라운드에서 5번 시드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에게 패했다.[12]2018년 10월, 고향 프랑스에서 열린 챌린저 대회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12] 복식에서는 투어 12승을 거두었지만, 단식에서는 한 번도 투어 우승을 하지 못했다. 투어에서 우승하지 못한 선수 중 준우승 10회는 최다 기록이다.[12]
쥘리앵 베네토는 그랜드 슬램, 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대회에서 우승한 기록이 없다. ATP 월드 투어 500 시리즈에서 1회, ATP 월드 투어 250 시리즈에서 9회 준우승했다.
쥘리앵 베네토는 ATP 투어 복식에서 12번 우승하고 9번 준우승했다.
3. 기타
범례 그랜드 슬램 (0–0) ATP 월드 투어 파이널스 (0–0)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0–0) ATP 월드 투어 500 시리즈 (0–1) ATP 월드 투어 250 시리즈 (0–9)
서페이스별로는 하드 코트에서 7회, 클레이 코트에서 2회, 카펫 코트에서 1회 준우승했다. 경기 환경별로는 야외 경기에서 4회, 실내 경기에서 6회 준우승했다.서페이스별 우승 하드 (0–7) 클레이 (0–2) 잔디 (0–0) 카펫 (0–1) 경기 환경별 우승 야외 (0–4) 실내 (0–6)
다음은 베네토가 참가한 주요 대회의 결승전 결과이다.결과 전적 날짜 대회 등급 서페이스 상대 스코어 패 0–1 2008년 5월 그랑프리 하산 2세, 모로코 인터내셔널 클레이 질 시몽 5–7, 2–6 패 0–2 2008년 10월 리옹 오픈, 프랑스 인터내셔널 카펫 (실내) 로빈 소데르링 3–6, 7–6(7–5), 1–6 패 0–3 2009년 5월 오스트리아 오픈, 오스트리아 250 시리즈 클레이 기예르모 가르시아 로페스 6–3, 6–7(1–7), 3–6 패 0–4 2010년 2월 오픈 13, 프랑스 250 시리즈 하드 (실내) 미카엘 로드라 3–6, 4–6 패 0–5 2011년 8월 윈스턴-세일럼 오픈, 미국 250 시리즈 하드 존 이스너 6–4, 3–6, 4–6 패 0–6 2012년 1월 시드니 인터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250 시리즈 하드 야르코 니에미넨 2–6, 5–7 패 0–7 2012년 9월 말레이시아 오픈, 말레이시아 250 시리즈 하드 (실내) 후안 모나코 5–7, 6–4, 3–6 패 0–8 2013년 2월 로테르담 오픈, 네덜란드 500 시리즈 하드 (실내)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6–7(2–7), 3–6 패 0–9 2013년 9월 말레이시아 오픈, 말레이시아 250 시리즈 하드 (실내) 주앙 소자 6–2, 5–7, 4–6 패 0–10 2014년 9월 말레이시아 오픈, 말레이시아 250 시리즈 하드 (실내) 니시코리 게이 6–7(4–7), 4–6
4. ATP 투어 결승 전적
범례 그랜드 슬램 (1–1)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2–4) ATP 월드 투어 500 시리즈 (1–2) ATP 월드 투어 250 시리즈 (8–2) 표면별 우승 횟수 하드 (9–5) 클레이 (2–1) 잔디 (0–2) 카펫 (1–1) 환경별 우승 횟수 실외 (5–6) 실내 (7–3)
2003년 9월 모젤 오픈에서 니콜라 마위와 함께 복식 투어 첫 우승을 달성했다.[11] 2014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는 에두아르 로제-바슬랭과 짝을 이뤄 결승에 진출, 그라노예르스/M. 로페스 조를 꺾고 생애 첫 메이저 대회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1984년 야니크 노아와 앙리 르콩트 이후 30년 만에 프랑스 선수 조가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한 것이다.[11]
4. 1. 단식: 10회 (준우승 10회)
결과 | No. | 결승일 | 대회 | 서페이스 | 상대 선수 | 스코어 |
---|---|---|---|---|---|---|
준우승 | 1 | 2008년 5월 24일 | 카사블랑카 | 클레이 | 질 시몽 | 5–7, 2–6 |
준우승 | 2 | 2008년 10월 26일 | 리옹 | 카펫 (실내) | 로빈 소더링 | 3–6, 7–6(5), 1–6 |
준우승 | 3 | 2009년 5월 18일 | 키츠뷔엘 | 클레이 | 기예르모 가르시아-로페스 | 6–3, 6–7(1), 3–6 |
준우승 | 4 | 2010년 2월 15일 | 마르세유 | 하드 (실내) | 미카엘 로드라 | 3–6, 4–6 |
준우승 | 5 | 2011년 8월 27일 | 윈스턴-세일럼 | 하드 | 존 이스너 | 6–4, 3–6, 4–6 |
준우승 | 6 | 2012년 1월 15일 | 시드니 | 하드 | 야르코 니에미넨 | 2–6, 5–7 |
준우승 | 7 | 2012년 9월 30일 | 쿠알라룸푸르 | 하드 (실내) | 후안 모나코 | 5–7, 6–4, 3–6 |
준우승 | 8 | 2013년 2월 17일 | 로테르담 | 하드 (실내) |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 6–7(2), 3–6 |
준우승 | 9 | 2013년 9월 29일 | 쿠알라룸푸르 | 하드 (실내) | 주앙 소자 | 6–2, 5–7, 4–6 |
준우승 | 10 | 2014년 9월 28일 | 쿠알라룸푸르 | 하드 (실내) | 니시코리 케이 | 6-7(4), 4-6 |
4. 2. 복식: 21회 (우승 12회, 준우승 9회)
(실내)파브리스 산토로
앤디 람
야로슬라프 레빈스키
마이크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실내)
세바스티앙 그로장
(실내)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마이크 브라이언
(실내)
켄 스쿠프스키
(실내)
아이샴-울-하크 큐레시
마이크 브라이언
라데크 스테파넥
(실내)
조나단 머레이
마르크 로페스
호리아 테카우
마이크 브라이언
니콜라 마위
(실내)
도미니크 잉글롯
브루노 소아레스
아르템 시타크